역사학자 정혜경(57)은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 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에서 11년간 조사과장으로 근무했다. 

일제강점기 일본 당국이 관리한 러시아 사할린의 조선인 노동자 846명에 대해 지난 2015년 우리 정부가 처음으로 ‘강제 징용’을 공식 확인하는 과
정에서 주도적인 역을 맡기도 했다. 

현재는 ‘일본군위안부 12·28합의’로 경색된 한일관계 해결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최근 펴낸 ‘터널의 끝을 향해’가 증거다. 

‘아시아태평양전쟁이 남긴 대일역사문제 해법 찾기’는 부제가 달린 이 책에서 대일역사문제해결의 출발점을 재일사학자 강덕상의 입론에 근거,
‘사실의 무게’를 알기 위한 한국과 일본 시민들의 노력이라고 전제한다. 

지난 2008년 제1차 일본 도쿄 유텐사 안치 한인 유골 봉환 후 한국과 연대한 현지 양심세력 등 오랫동안 역사의 거울을 닦아온 양심적 일본 시민들
의 사례를 소개한다. 

정 씨는 이와 함께 복원해야 할 한일관계의 푯대를 ‘김대중-오부치 한일공동평화선언’으로 설정했다. 일본이 한국에 대해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처음으로 공식 명문화했다. 

정씨는 “한국 시민사회가 일본에 대해 ‘책임을 묻는 일’과 ‘가해자의 양심을 두드리는 일’을 과제로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
다. 

동시에 “한국은 그동안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며 “일본을 상대로 제대로 촉구하고 외교적 성과를 내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