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소방서 재난예방과장 유우상 / 아직 대한민국 국민들은 지진에 대해서는 불감인 듯하다. 
 

하지만 언제까지 안전지대일까? 학생들이 배우는 지구과학분야의 판에 대해서만 보아도 한반도가 있는 판 밑으로 일본 정도 위치에 있는 판이 들어가고 있다.
 

일본이야 유동적인 판 위에 있으니 항상 지진에 시달리지만 한국의 경우에도 판¹이 밑으로 깊이 들어올수록 지진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필연적인 일이다.
 

지진이 발생하기 전 준비사항들이 먼저 살펴보면 탁자 아래와 같이 집 안에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대피 공간을 미리 파악해 두어야 한다. 지진이 발생하면 붕괴 등으로 인한 낙하물의 위험이 도사리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유리창이나 넘어지기 쉬운 가구 주변 등 위험한 위치를 사전에 파악해 지진 발생 시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설사 가까이 가게 되더라도 다치지 않도록 두꺼운 실내화를 준비해 둬야 하고 지진과 화재가 연계돼 발생할 수 있기에 난로나 위험물 등은 평상시 주의해 관리하고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익혀둬야 한다.
 

그러면 단순히 자신의 신체만 주의를 해두면 될까? 집 안에 있는 물건들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준비가 필요하다. 
 

가구나 가전제품 등이 흔들림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해둬야 하고 꽃병과 같은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은 높은 곳에 두지 않아야 하며, 그릇장 안의 물건들이 쏟아지지 않도록 문을 고정하고 창문 등의 유리 부분은 필름을 붙여 파손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 밖에 집에서 관리가 필요한 부분이 있는데 가스 및 전기는 미리 점검하는 습관을 가지고 건물, 담장 등을 수시로 점검하면서 위험한 부분은 안전하게 수리를 해야 한다.
 

집에 혼자 산다면 상관이 없겠지만 가족이 있다면 비상시 만날 곳과 연락할 방법을 정해두어야 하고 응급처치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훈련해 익혀둬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비상용품을 준비하고 사용방법도 숙지해야 한다.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百戰百勝)이라고 했다. 지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더욱 유용하게 대처할 수 있을 터 관련 정부 기관의 연락처를 알아두거나 정부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 재난정보 앱을 설치하면 정보를 얻기에 수월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