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산 주광현

우리나라의 맞춤법 ‘사이시옷’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고 본다. 

  국립국어원 발행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사이시옷은 아래와 같이 풀이하고 있다.

  “한글 맞춤법에서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났을 때 쓰는 ‘ㅅ’의 이름. 순우리말 또는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 가운데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따위에 받치어 적는다. ‘아랫방’, ‘아랫니’, ‘나뭇잎’ 따위가 있다. ≒중간시옷.

  여기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에 대해 볼멘소리(苦言)를 먼저 하겠다.

  두 말을 합성해 한 낱말로 했을 때 ‘뒷말의 첫소리가 자연스럽게 된소리로 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두 낱말 사이에 사이시옷을 붙여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은 가당(可當)한 일이다. 그러나 낱말에 따라, 또는 사람에 따라 뒷말의 첫소리를 예사소리(平音)로 발음할 수도 있고 된소리(硬音)로 발음할 수도 있다. 이럴 때 굳이 사이시옷을 넣어서 뒷말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게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닐까? 또한 이보다 더 나아가 예사소리로 내는 것이 자연스러운데도 일부러 사이시옷을 넣어 이를 억지로 된소리로 만들어 내는 경우도 있다.

  말은 그 나라 민족의 얼과 혼이 들어 있고 문화와 정서가 깃들어 있다. 때문에 가능하면 순화해 된소리보다는 예사소리로 발음을 해야 할 것이다. 된소리 발음이 많으면 많을수록 말이 거칠어지고 드세어진다. 말이 거칠고 드세어지면 언어생활이 거칠게 돼 생활과 감정이 격(激)해지기 쉽다. 폭동(暴動)은 폭언(暴言)으로부터 시작되고 폭언은 된소리(硬音)가 바탕에 깔려 있다.

  예를 들면 등굣길(登校길)은 한자어와 순우리말의 합성어이다. 한글 맞춤법에서는 ‘登校+길’이라는 합성어에 사이시옷을 붙여 뒷말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도록 하고 있다. 즉 [등교낄/등굗낄]로 표준 발음을 정하고 있다. 이는 ‘등교길[등교길]과 같이 표기한 대로 순하게 발음하는 것이 오히려 더 자연스러운 데도 일부러 사이시옷을 남용(濫用)하고 있는 사례라고 감히 지적한다.  ’하굣길, 장맛비‘ ’진돗개‘ 등도 같은 사례이며 곳곳에 이런 투의 사이시옷 남용 합성어가 있어 이럴수록 우리말과 글은 거칠어지고 드세어짐을 알고 맞춤법을 좀 더 언어 순화 측면으로 방향 전환을 했으면 한다.   

  다음으로 한자어와 한자어 합성어에는 아래의 6개 어휘를 제외하곤 사이시옷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즉, ①셋방(貰房)[세ː빵/섿ː빵]  ②숫자(數字)[수ː짜/숟ː짜] ③횟수(回數)[회쑤/휃쑤] 

④곳간(庫間)[고깐/곧깐] ⑤찻간(車間)[차깐/찯깐] ⓺툇간(退間)[퇴ː깐/퉫ː깐] 이 6개 낱말은 한자어와 한자어가 합성된 낱말이다. 그런데도 예외적으로 반드시 사이시옷을 넣어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예외 조항의 6개 낱말이 아닌 한자어끼리의 합성어라도 낱말에 따라서 사이시옷을 넣어 뒷말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도록 허용을 해야 할 어휘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대가(對價)[대ː까], 대가06(代價)[대ː까] 등은 뒷말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도록 표준 발음을 정해 놓고도 한자어끼리의 합성어라는 이유로 사이시옷을 쓸 수 없게 했다. 또한 6개의 예외 적 한자어 합성어 중에 ③횟수(回數)[회쑤/휃쑤] 가 있었다. 이와 거의 같은 언어적 환경에 있는 호수(戶數)[호ː쑤]는 한자어끼리 합성어가 됐다는 이유로 표준 발음은 [호ː쑤]로 하도록 하면서 사이시옷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는 논리적으로나 형평상으로 잘못이 아닌가?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