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진 교수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부동산MBA 겸임교수
도시공학박사 / 부동산학박사

가계는 가정 또는 가족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가족 구성원은 자원을 생산 활동에 제공하고 그 대가로 소득을 획득해 저축과 소비활동을 영위한다. 기업은 가계에 재화를 공급하고 정부는 가계가 제공하는 각종 조세를 활용해 의무교육, 사회보장, 공공사업 등의 서비스를 직, 간접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가계는 자산을 축적해 부(富)를 소유하는 동시에 소득의 처분자로서 자원 배분과 소비를 결정하는 잠재력을 가진다.
정부에서는 가계의 경제적 삶의 수준 및 변화 등을 미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매년 가계금융• 복지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자산을 중심으로 생활수준의 정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본 조사의 특징이다. 
가계 자산은 금융자산인 저축액과 전·월세 보증금, 부동산, 기타 실물자산으로 구성돼 있다. 2017년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 8,164만 원이며, 부채는 7,022만 원으로 가구당 3억 1,142만 원의 순자산을 나타낸다. 
가계 자산 중에는 부동산이 69.8%, 금융자산은 25.6%, 기타 실물자산이 4.6%로 우리나라는 부동산 비중이 단연 높다. 아직 가계에 부동산과 견줄만한 투자 자산이 별로 없는 것도 부동산 선호의 이유일 것이다. 또한, 부동산은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내구재(耐久財)이면서도 가격 상승이 기대되는 투자재이기도 해 소비와 투자 목적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장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가계에서는 연령이 증가하면 할수록 실물자산인 부동산의 비중이 높아진다. 
주택 관련 구입, 노후 대책, 결혼자금 마련, 사고와 질병 대비, 자녀 교육비 마련, 부채 상환 등 다양한 용도로 부동산이 가계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2017년 가계 부채(금융과 임대보증금으로 구성)를 보유한 가구는 63.2%로 전체 가구에서 약 3분의 2의 비중을 나타낸다. 
가계 부채 중 금융부채의 비중은 71.2%를 차지하고 있다. 가계의 부동산 중 거주 주택은 주택 관련 가계대출과도 연계돼 있다. 그래서 가계대출금리 상승은 가계의 적신호로 여겨진다. 
최근 3년간(2015년 10월~2018년 9월, 36개월) 기준금리와 가계대출금리(신규) 간의 스프레드(기준금리와 가계대출금리 간의 차이)는 월평균 2.00%이다. 예를 들어 다음 달 기준금리가 1.5%에서 1.75%로 0.25% 상승하면 기준금리와의 스프레드 2.00%를 가산해 가계대출금리(신규)는 약 3.75%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부동산 비중이 높으면서 금융 부채를 가지고 있는 가계에서는 안정성 측면에서 금융과의 연계성에 대비해 ‘금리’를 체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