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2020년 전 세계 11조 5000억 달러(1경3046조 7500억원) 규모로 성장 전망되는 4차산업혁명의 핵심분야인 헬스케어 육성에 본격 나선다.  
16일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따르면 세계 헬스케어 산업 시장은 지난 2015년 기준 9조 1000억 달러에서 오는 2020년 11조 5000억 달러로 성장이 전망된다.  
이미 2015년 기준 의약품 세계 시장 규모는 1206조원으로 자동차(600조원), 화장품(477조원), 반도체(400조원) 시장규모를 크게 앞서고 있다. 의료기기 시장도 368조원이다.  
따라서 의약품과 의료기기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ICT 기술과 융합되는 헬스케어 시장은 4차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파급력있는 혁신성장의 핵심분야로 꼽힌다. 
헬스케어 분야는 AI·유전정보를 활용한 환자별 최적 치료 등 신기술을 활용한 태동기·성장기 산업이 다수 포진돼 있다.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연 15.2% 성장, 헬스케어 AI 시장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 52.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4차위는 헬스케어 분야 발전을 위한 기술·산업 융합으로 국민 건강 증진 및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사람 중심 4차 산업혁명’ 구현이 가능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4차위는 지난해 12월부터 위원회 내 ‘헬스케어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헬스케어 분야 주요 아젠다를 논의하고 있다.
주요 안건은 ▲헬스케어산업 생태계 조성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구축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센터 ▲융복합 헬스케어기기+체외진단기기 등 5대 프로젝트 추진 전략과 바이오헬스 분야 규제 개선이다. 

4차위는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미래 헬스케어의 비전을 제시하고 헬스케어특위 5대 프로젝트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종합해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래 헬스케어 기술은 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바이오 융합 신기술이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건강관리와 질병 진단, 치료의 해법을 찾는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시장은 지속 성장하고 있다. 2015년 약 64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 180억 달러로 성장이 예상된다.유전정보, 의료정보, 건강정보, 연구데이터 등 정보가 결합하면 맞춤형 정밀의료 구현

 

이 가능해진다.  


의료 AI를 활용한 헬스케어 혁신도 기대된다. AI 활용 임상정보 수집·분석을 통해 진단·치료방법을 제안하면 질병진단의 속도와 정확성, 치료의 효율성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4차위는 분석하고 있다. 
또 질병치료에 더욱 효과적인 약물 조합과 용도 변경 탐색, 약물 후보군, 임상환자 군의 최적화, 효과성 검증 등 신약개발 과정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시간·비용 등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IoT를 활용한 서비스 영역 확대 및 병원 시스템 혁신도 기대된다. 환자 수요 예측, 의료인력·자원 관리 등 의료 프로세스 전반이 최적화된 스마트 병원 구현이 가능하며, 환자 중심의 접수·수납, 진료, 검사 등 원스톱 서비스 제공 및 건강인과 환자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특히 유전공학, 합성생물학, 뇌과학 등 바이오 융합 혁신기술을 통해 희귀난치병의 치료, 인공장기 등 질병 극복 가능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세계경제포럼(WEF), MIT, 가트너 등이 선정하는 미래 유망기술의 20~30%는 헬스케어 분야 기술이다.  
지난 10일 4차위 제9차 회의에 특별위원 자격으로 참석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헬스케어 분야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박 장관은 “한국 산업계를 주도할 수 있는 분야 중 하나가 헬스케어”라며 “지금은 ICT 업계에서 이끌고 있지만 향후 헬스케어 분야에서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병규 4차위원장도 “지난 1년간 헬스케어 특위에서 10차례 회의하고 2차례 워크숍을 다녀왔다. 하지만 범위가 넓다보니 시간의 한계에 부딪혔다”며 “4차위 2기에선 디지털이란 키워드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관련, 인공지능이나 맞춤 의료 관련 이야기가 중심이 될 것 같다”고 전했다. 

4차위는 향후 헬스케어특위 위원들이 중장기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과제로 제안한 유전자 치료·검사 허가 규제, 의료데이터 보호 및 활용 등에 관한 주제에 대해 사회적 논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