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명동 중국인 관광객이 몰리는 거리에 진열된 화장품의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 서울 중구 명동 중국인 관광객이 몰리는 거리에 진열된 화장품의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들이 국내 시장 경쟁 심화 등으로 잇따라 적자를 내며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지난해 10월 스킨푸드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데 이어 2000년대 K-뷰티 열풍을 일으켰던 1세대 로드숍 브랜드 실적이 줄줄이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자회사 에뛰드도 로드숍 침체의 영향을 피해가지 못했다. 지난해 매출은 2183억원으로 16% 감소했고, 영업손실 262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미니 투 매치’, ‘샤인시크 립라커’ 등 신제품 출시로 제품을 다양화했지만, 영업이 부진한 매장 수를 줄인 데 따른 매출 하락을 피해가지 못했다.


잇츠스킨을 운영하는 잇츠한불의 경우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21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2.3% 줄었고, 영업이익은 208억원으로 무려 54.1% 쪼그라들었다. 한때 ‘달팽이크림’으로 고공성장 했지만, 이후 이렇다할 히트제품을 내놓지 못한 탓이다. 잇츠한불은 현재 200여 곳인 전국 매장을 단계적으로 줄이고 온라인 판매에 집중할 예정이다.

 
토니모리는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연결 기준 50억원의 영업손실을 내 적자폭이 커졌다. 매출액은 18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 


업계에선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들의 실적 부진 요인으로 경기침체 속 할인·마케팅 등 국내 시장 경쟁 심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처로 내려진 한한령, 온라인 유통채널 성장, 헬스앤뷰티(H&B)스토어의 성장 등을 꼽는다.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로드숍 업계에 위기감이 만연하다”면서 “유통구조 개선, 온라인 강화, 해외시장 다각화 등 저마다 자구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시장 공략에 있어 철저한 현지화 마케팅 전략도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실제로 LG생활건강은 럭셔리 한방 화장품 ‘후’를 앞세워 중국 고가 화장품 시장을 집중 공략해 승승장구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한방 브랜드 ‘후’ 등 럭셔리 화장품의 성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한 1조393억원을 기록했고 매출은 같은기간 10.5% 성장한 6조7475억원, 순이익은 12.0% 증가한 6923억원을 달성했다. 


지난 2003년 출시한 ‘후’는 2016년 연 매출 1조원을 돌파한 후 2년 만에 국내 화장품 업계 최초로 단일 브랜드 기준 연 매출 2조원을 달성했다. ‘숨’의 고가라인인 ‘로시크숨마’는 4분기 중국 현지에 론칭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고, ‘오휘’의 최고급라인인 ‘더퍼스트’는 전년 동기 대비 31% 성장하며 차세대 브랜드로서 입지를 강화했다. 


2006년 중국 시장에 진출한 후는 한류스타 이영애를 전면에 내세우고 VIP 마케팅을 펼쳤다. 상하이, 베이징 등 주요 대도시의 고급 백화점에 입점해 상위 5% 고객을 공략했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