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공인중개사 앞에 붙어 있는 전월세 안내문
▲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공인중개사 앞에 붙어 있는 전월세 안내문

 

불패신화를 이어가던 서울 집값의 버블이 마침내 빠질 조짐이 포착되고 있다. 매매거래 보다는 전월세 거래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일관된 부동산 정책을 신뢰, 결국 매매시장이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정부 예상대로 매물이 많지 않고 사겠다는 사람도 없는 이른바 ‘거래절벽 현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설상가상 매도·매수자 모두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거래 절벽’을 넘어 ‘부동산 침체기’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거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8.5%나 감소했다. 특히, 하락세로 접어든 서울은 1년 전에 비해 매매거래가 60%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월세 거래량은 매매거래와는 반대로 늘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국 5286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14주 연속 매매가격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서울의 1월 아파트 거래량은 6040건. 지난해 같은 달 1만5107건보다 60%나 줄었다. 지난해 12월 7000건보다도 13.7% 줄었고 최근 5년 평균보다는 44.1%나 낮은 거래량이다. 


반면, 서울의 전월세 거래는 5만4545건으로 나타났다. 한 달 전보다 20.9%, 1년 전과 비교하면 16.8% 증가했다.  


부동산 거래 신고는 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 신고하기 때문에 지난해 9.13부동산 대책의 효과가 실제 나타나는 지난해 11~12월 매매계약이 반영된 것이다.  
이 같은 수치는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더 많은 ‘매수자 우위시장’에서 ‘시간이 지나면 집값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주택시장에 대세로 굳어졌다는 분석이다. 실수요자 입장에서 집값 거품이 여전하고 향후 집값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뜻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수요자가 체감할 수 있을 수준으로 집값이 하락할 때까지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정부의 정책 일관성도 하락에 힘을 보태고 있다.  


한편, 오는 4월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발표와 신규입주 물량이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