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월 25일 오전 전북 군산 인근 120km 서해상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하는 기상항공기가 비 씨앗인 요오드화은을 살포하고 있다. (사진=기상청 제공)
▲ 올해 1월 25일 오전 전북 군산 인근 120km 서해상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하는 기상항공기가 비 씨앗인 요오드화은을 살포하고 있다. (사진=기상청 제공)

 

기상청과 환경부가 지난달 서해 인공강우 실험에서 유의미한 강우가 관측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미세먼지 저감 효과도 확인되지 않았다. 


기상청과 환경부는 27일 합동브리핑을 열고 지난 1월25일 서해상에서 진행했던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상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기상청은 이번 실험을 통해 구름씨 살포 후 대기 중 구름 발달이 확인됐고 일부 섬에서 강우가 감지됐다고 전했다. 하지만 지상 부근 대기가 건조해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기상항공기에 장착된 관측 장비로 구름 내부 변화를 분석한 결과 큰 구름과 강우 입자의 수가 증가했다. 또 기상레이더를 통해서는 하층 구름이 발달하는 것이 탐지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으나 일부 섬(장산도) 지역에서는 2회 감지됐다”며 “구름씨 살포로 발달한 하층운에서 약하게 강우가 생성됐으나, 내륙은 지상 부근의 대기가 건조해 낙하하는 강우 입자가 증발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인공강우 영향 예측 지역인 영광, 나주 등 내륙지역에서 강우가 관측되지 않음에 따라 확인할 수 없었다고 기상청은 밝혔다.


기상청은 실험 당일 시작 후인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께 목표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이는 바람(풍속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미세먼지는 외부 공기 유입으로 오후 2시부터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결론적으로 실험 기간 미세먼지 농도의 감소는 풍속 증가에 의한 것이었고, 그 이후 다시 외부공기 유입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그동안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은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을 해왔으며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인공강우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