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세먼지가 국가 재난사태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대기환경 관리를 위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8일 경기도 미세먼지 현황을 살펴보고, 대기환경 관리를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해 경기도 적용 방안을 제안한 ‘4차 산업혁명과 경기도 미세먼지 관리보고서를 발표했다.

2017년 경기도의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모두 연평균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한 51/, 27/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미세먼지 농도는 2008년부터 꾸준히 개선 추세에 있다가, 2013년 이후 최근 몇 년간은 정체되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2차 경기도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특별대책 시행계획과 함께 “2차 경기도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까지 2017년 초미세먼지 농도 대비 33% 저감(18/)을 개선 목표로 총 17,671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그러나 인구와 교통량이 밀집된 도심 내에는 다수의 생활오염원이 함께 분포하고 있어, 측정망 관측자료보다 미세먼지 오염도가 훨씬 높은 고농도 구역(Hot-Spot)이 있다. 이로 인해 국가 대기질 정보와 국민 체감도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고 있어 더욱 촘촘한 미세먼지 측정망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일부 대형 사업장 및 발전소 등은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배출허용기준 준수여부를 감시하고 있으나, 미부착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는 여전히 부족하다. 더구나 중소규모 사업장은 조사체계의 부재 및 행정력 부족으로 인해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활용하면 미세먼지 배출시설에 대한 만성적인 관리인력 부족을 획기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경기도는 도심 및 산업단지 지역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적용해 대기질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대기환경 관리에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방안으로는 인구밀집 및 고농도지역에 IoT를 활용한 공기질 측정 시스템 도입 중소규모 사업장이 밀집된 지역의 배출시설에 각종 감지센서 설치 어린이집, 산후조리원 등 미세먼지 민감계층 이용시설에 실시 간 실내공기질 측정시스템 도입 빅데이터 분석 기반 경기도 대기환경정보시스템구축 등을 제안했다.

 

황영진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