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기북부지역에 설치된 이동식 무인단속 카메라를 이용한 단속건수가 지난해에 비해 10%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같은 편차는 운전자들의 안전운전보다는 장비 고장으로 인한 운영중지기간의 영향이 커 이동식 무인단속 장비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지원이나 국비 추가확보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16일 경기북부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올 1분기 경기북부지역 무인단속카메라 과속 적발건수는 3만263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만6979건에 비해 11.7%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가평경찰서가 8769건으로 가장 많았고, 남양주경찰서 7333건, 의정부경찰서 5228건, 고양경찰서 3404건, 파주경찰서 2109건, 양주경찰서 1717건, 연천경찰서 1508건, 동두천경찰서 884건, 구리경찰서 575건, 일산동부경찰서 541건, 일산서부경찰서 421건, 포천경찰서 141건 순이었다.

지난해 1분기 2918건이 적발됐던 가평지역의 경우 올해는 8769건으로 3배 가까이 늘었고, 지난해 같은 기간 7952건을 적발한 파주경찰서는 올 1분기 2109건을 적발하는데 그쳤다.

양주경찰서 역시 6665건에서 1717건으로 무인 단속카메라를 이용한 단속실적이 크게 감소했다.

이처럼 적발건수가 들쭉날쭉한 것은 장비 노후화로 인한 잦은 고장이 주 원인으로 분석된다.

경찰의 이동식 무인단속카메라는 1대당 2000만원 수준으로, 지자체 예산 지원이나 자체 설치 없이 경찰청에서 예산을 받아 구입한다.

그러나 매년 신규 배정되는 이동식 무인단속 카메라는 각 지방청마다 1~2대 수준이어서 장비 노후화가 심한 상태다.

심지어 장비 고장 등으로 지난해 이동식 무인 단속카메라가 없던 경찰서도 2곳이나 있었을 정도다.

예비 장비도 없는 탓에 파손과 오류 등 고장이 발생하면 예산을 받아 수리할 때까지 해당 지역에서는 이동식 무인 단속카메라 운용이 불가능한 상태다.

여기에 사고 위험이 높은 지역에 설치되는 이동식 무인단속 카메라 부스 수나 지역 면적, 차량 통행량 등을 고려치 않고 각 경찰서당 1대씩만 배정돼 있는 점도 문제다.

관할 구역이 작은 경찰서는 일주일에 1~2차례씩 동일 장소 단속이 가능하지만, 관할 구역이 넓은 경찰서는 부스당 하루씩 이동식 무인단속 카메라를 운영해도 1달 가까이 걸릴 정도여서 사고 다발지역에 대한 경각심 고취나 운영 효율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의정부지역의 경우 4개의 이동식 무인단속 카메라 부스가 설치돼 있지만, 포천지역에는 26개의 이동식 무인단속 카메라 부스가 있음에도 장비는 똑같이 1대씩이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 관계자는 “단속실적이 크게 차이 나는 부분은 단속 효율성 문제보다는 장비 고장으로 인해 단속을 실시하지 못한 원인이 크다”며 “이동식 무인단속 카메라 부스는 카메라가 설치 여부와 관계 없이 설치 장소를 지나는 운전자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유광식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