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4인 사업장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수준이 일본의 76.9%에 불과하다는 연구가 나왔다. 반면 대기업은 오히려 일본보다 임금이 54.8% 높았다. 우리나라 기업의 임금 수준이 기업 규모에 따라 양극화되고 있다는 연구결과다. 
중소기업연구원의 노민선 연구위원은 이 같은 내용의 ‘한국과 일본의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비교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500인 이상 대기업 대비 평균임금 비중은 기업 규모가 작아질수록 감소했다.  
100∼499인 기업은 대기업 임금의 70.0%였다. 10∼99인 기업은 57.2%, 5∼9인 기업은 48.3%로 나타났다. 1~4인 기업의 경우 대기업 임금의 32.6%에 불과했다. 
특히 10인 미만 영세 중소기업의 평균임금은 1인당 GDP보다 낮게 나타났다. 동일 규모 일본기업의 76.9∼96.9% 수준에 불과했다.  
반면 500인 이상 대기업의 평균임금은 1인당 GDP 대비 90.8%나 높았다. 같은 규모의 일본기업에 비해 54.8% 많은 임금을 받았다.  
또 이 같은 임금격차는 최근 5년간 더 벌어졌다. 임금격차가 완화되는 일본과 대조적이다. 대기업과과 비교한 임금 비중은 최근 5년새 1∼4인 기업에서 1.1%p 줄었고, 5∼9인 기업에서 2.4%p 줄었다. 10인 이상도 5년 전에 비해 대기업보다 2.6% 임금이 줄었다.
반면 일본은 1~9인 기업부터 100∼499인 기업까지 최소 2%~ 6.1%p 임금격차가 완화됐다. 
이에 대해 노민선 연구원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주로 상위 대기업의 높은 임금수준에 기인한다”며 “협력 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상생협력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노 연구원은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인력정책을 생산성 향상과 연계해 장기재직을 유도하는 형태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