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5세에서 29세 인구 중 취업자 비율을 뜻하는 청년고용률이 상승한 반면 청년실업률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업황 부진이 지속되고 있지만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하면서 청년 고용 지표가 개선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3월 기준 청년고용률(경제활동인구조사)은 42.9%로 지난해 3월보다 0.9%포인트 상승했고, 실업률은 10.8%로 0.8%포인트 하락했다.

청년 인구가 전년동월대비 8만8000명 감소했음에도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4만3000명 증가했으며 특히 청년일자리사업의 핵심 타깃인 25~29세가 상승세를 주도했다고 고용부 설명이다.

업종별로는 청년들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제조업의 경우 업황 부진이 지속되며 청년 취업자 수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특히 이들 업종은 상대적으로 고용이 안정된 상용직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기준 청년층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241만 명으로 지난해 3월보다 약 8만30000명 증가한 가운데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932명), 정보통신업(1만167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8000명) 등이 크게 증가했다.

정규직 채용을 조건으로 지원하는 청년일자리사업이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고용부는 판단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이상복 청년고용기획과장은 “청년일자리 사업에 대한 현장의 반응이 뜨거운 가운데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중심으로 청년일자리의 양과 질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청년일자리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추가 채용 시 1인당 연 900만원 한도로 3년 간 지원하는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사업과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 자산형성(2년 1600만원 또는 3년 300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이다.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의 경우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분기까지 총 3만8330개 기업이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을 활용했으며 청년 18만1659명을 추가로 채용했다고 고용부는 밝혔다.

황영진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