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분기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가구 소득이 함께 쪼그라들었다.

올해는 가구주 상여금이 큰 폭으로 줄면서 지난해보다 근로소득 증가율이 크게 둔화됐다.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 자영업황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사업소득 감소세도 이어졌다.

다만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 소득과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분배 격차는 다소 완화됐다. 5분위 배율이 1년 전보다 0.15배p 줄어드는 등 2015년 이후 4년 만에 하락했다.

◇저소득층 인구 증가…소득 감소 폭은 완화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25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줄어들었다.

지난해 4분기 감소 폭(-17.7%)보다는 완화되며 5분위와 소득격차는 줄어들었다. 지난해 1분기(-8.0%), 2분기(-7.6%), 3분기(-7.0) 등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올해 1분기 감소 폭이 가장 작다.

정부의 정책효과 등으로 감소 폭이 축소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초연금 확대 등 정부의 사회안전망 강화 정책이 저소득층 소득 보완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9월 21만원이었던 기초연금을 25만원으로 인상했다. 공공기관 등에서 개인에게 지급되는 공적이전소득의 증가율도 1분위의 경우 전년 대비 기준으로 2018년 1분기 13.4%, 올해 1분기 15.8%로 늘었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을 열고 “정부의 정책적 노력으로 볼 때 사회수혜금이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이후 국민연금, 기초연금 순이다”면서 “사회수혜금에는 아동수당과 실업급여 등이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36.8%) 큰 폭으로 감소했던 1분위 근로소득은 1분기 -14.5%를 나타내는 등 감소 폭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임시·일용직 등 고용 감소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취업자는 17만7000명 증가했지만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11만1000명 줄었다.

경상소득은 125만4000원으로 1년전보다 1.7% 감소했다. 정기적이지 않고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비경상소득이 90.3% 감소했다. 재산소득도 37.8% 줄었다.

◇자영업자 2→1분위 이동…2~4분위 소득 증가

지난해 1분기 26.0% 감소했던 1분위 사업소득은 올해 1분기에서 10.3% 늘어나는 등 크게 증가했다. 1~5분위 전체 사업소득은 1.4% 감소했으며 1분위와 2분위를 묶어서 보면 사업소득은 0.7% 늘었다.

1분위 비근로자 가구 중 자영업자 가구가 지난해 1분기 대비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자영업자 비중이 2분위에서 1분위로 이동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과장은 “자영업의 업황이 여전히 부진하고 어려우신 자영업 가구가 일부가 1분위로 하락한 것 같다”면서 “1~2분위를 같이 묶어서 보는 게 좋다. 저소득 가구의 소득급락세가 멈춰서는 정도지 구체적으로 뚜렷한 회복 기미를 보여준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2, 3, 4분위의 가구 소득은 각각 4.4%, 5.0%, 4.4%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1분기 -4.0%, 2분기 -2.1%, 3분기 -0.5%, 4분기 -4.8% 등 모든 분기에서 감소하던 2분위 소득이 올해 1분기 플러스(+)로 전환됐다.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근로소득 증가, 아동수당 등 공적이전소득 증가 등에 힘입은 결과라고 해석했다.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2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1.3%(실질기준 0.8%) 증가했다.

◇5분위 소득 2.2% 감소…마이너스(-) 전환

5분위 소득은 992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감소했다. 경상소득은 985만1000원으로 1년전보다 1.8% 줄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역시 각각 3.1%, 1.9%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높은 소득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보인다. 2017년 노사합의 지연으로 주요 기업 성과상여금이 지난해 1분기 지급됐기 때문이다.

5분위 소득은 전년비 기준으로 2015년 2.4%, 2016년 1.8%, 2017년 2.5%, 2018년 9.3% 등 매년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에는 10.4%까지 늘며 1분위와 소득분배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1~2월 임금 중 특별급여증가율은 전년비 기준 2016년 14.3%, 2017년 0.4%, 2018년 26.8% 등 증가하다가 올해 처음으로 5.3% 감소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