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리인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오는 31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서 어떤 결정이 내려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경기둔화 우려가 고조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이어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까지 금리인하를 권고하고 나선 상황이라 한은의 통화정책 기조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26일 금융시장 안팎에서는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는 기준금리가 연 1.75% 수준에서 그대로 동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후 지금까지 열린 세차례의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금리를 동결해왔다. 경기 성장세와 물가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으나 부동산 시장 쏠림 등 금융불균형 문제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인하 가능성에도 명확히 선을 그어왔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일 피지 난디에서 열린 ‘한·중·일’,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요건이 점차 개선되면서 앞으로 성장세가 회복되고 물가 상승률도 1%대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한다”며 “현재로서는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때가 아니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 
당분간 한은의 금리동결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중 무역분쟁과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원·달러 환율 상승을 비롯해 최근 변동성이 커진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경기와 물가 오름세 둔화도 하반기에는 다소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럼에도 시장에서는 하반기 금리인하 가능성에 힘을 싣는 분위기다. 당장 통화정책 기조를 바꾸긴 어렵겠지만 경기 둔화세가 더 뚜렷해지면 한은도 금리인하 카드를 만질 수 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대내외 경제연구기관들의 전망은 하나같이 어두워졌다. OECD, KDI, 한국금융연구원 등 최근 들어서만 3곳의 연구기관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4%로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만약 올 2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이 시장의 예상보다 낮게 나오는 등 경기지표 부진세가 지속될 경우 금리인하 압박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에도 어느정도 제동이 걸려 한은이 내세워온 금융안정 명분도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 
금통위 내부적으로도 경기와 물가 흐름, 금융안정에 대한 시각차가 조금씩 벌어지는 모습이다. 조동철 금통위원은 지난 8일 기자간담회에서 “지나치게 낮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해야 할 시점”이라며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번 회의에서 금리인하 소수의견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0~11월쯤에는 금리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정부 지출이 경제성장 효과에 얼마나 반영되는지 등을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