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6일 “한계기업이 외감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2%로 늘었다”라며 “앞으로 경영여건이 추가적으로 악화될 경우 부실위험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2019년 9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계기업이 외감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대비 0.5%p(124개) 상승한 14.2%(3236개)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이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으로 1 미만인 기업을 의미한다. 한마디로 3년 연속 이자낼 돈도 못 번 기업을 뜻한다.
이번 자료에서는 지난 6월 한은이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2019년 6월)’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한 내용을 담았다. 한은 관계자는 “당시 4월까지 나온 사업보고서만 담았지만 이번엔 7월 기준으로 모두 반영했다”며 “그 결과 한계기업 비중이 14.1%에서 0.1%p 정도로 상승했다”고 말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내 한계기업 비중이 10.6%로 전년대비 0.7%p 늘었다. 중소기업은 0.5%p 증가한 14.9%였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35.8%)과 조선(24%), 부동산(22.9%), 운수(18.7%), 해운(16.8%) 등의 비중이 높았다.
2년째 이자도 못낸 기업이 다음 해에도 그럴 확률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2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기업이 다음 연도에 한계기업으로 진입한 비율은 63.1%로 통계가 첫 작성된 2012년(62.5%) 이후 최고점을 기록했다.
금융기관의 한계기업 여신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107조9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7조8000억원 늘었다. 외감기업 전체 여신 내 비중은 0.4%p 늘어난 13.8% 였다.
한은 관계자는 “한계기업은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데다가 신용등급이 낮고 자본잠식 상태인 기업 비중이 높다”며 “경영여건이 추가적으로 악화될 경우 부실 위험이 크게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기준 신용평점이 7등급에서 10등급인 한계기업 비중은 84.2%다. 완전자본잠식 한계기업 비중은 26.1%다. 
이어 한은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교역 악화와 국내 경기 둔화 등으로 한계기업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금융기관은 신용 위험관리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광희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