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지하철 노사 협상이 타결된 16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에서 김태호 사장과 박원순 서울시장, 윤병범 서울교통공사 노조위원장이 노사합의서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서울지하철 노사 협상이 타결된 16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에서 김태호 사장과 박원순 서울시장, 윤병범 서울교통공사 노조위원장이 노사합의서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시 산하 공기업 서울교통공사가 총파업 직전에 협상을 타결했다. 지하철 운행 차질과 교통 대란으로 치닫던 양측은 실무진간 밤샘 협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았다.
16일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이상 사측),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에 따르면 15일 오후만 해도 노사간 대립이 첨예해 총파업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노사는 15일 오후 3시부터 9시55분까지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에서 교섭을 벌였지만 임금피크제로 인한 임금 하락 문제 해결, 안전인력 충원, 4조2교대제 확정 등 주요 쟁점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오후 10시께 협상 결렬을 공식 선언했다. 윤병범 노조위원장은 “오후 9시20분 교섭재개 약속에도 불구하고 9시55분까지 교섭장에 나타나지 않은 공사의 파렴치한 교섭회피를 강력 규탄한다”며 교섭결렬을 선언하고 파업지침을 노조원들에게 하달했다.
다음날인 16일 오전 6시30분부터 승무분야 파업이 시작되고 9시부터 전 부문이 파업에 들어가 시민 불편이 가중되는 상황이 되자 사측은 분주히 움직였다. 사측은 15일 오후 12시께 노조에 협상을 재개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고 16일 오전 3시부터 노사 실무진간 협상이 다시 시작됐다. 
실무협상과정에서 핵심은 임금피크제 문제였다. 
노조는 임금피크제로 인해 정년이 임박한 직원뿐만 아니라 기존 직원까지 임금을 적게 받는 현실이라며 폐지를 촉구했다. 사측은 중앙정부 정책에 서울시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결국 양측은 서울교통공사나 서울시가 해결하기 어려운 중앙정부 제도라는 점에 공감하고 행정안전부에 제도 개선을 건의하는 쪽으로 뜻을 모았다.
다음 난제는 현장 안전인력 증원이었다. 
노조는 안전인력이 부족하다며 충원을 요구했다. 기관사들이 휴일에 나와서 전동차를 몰고, 여기에 5호선 하남선 연장 개통과 6호선 신내역 신설로 일손이 더 부족해지는데 사측은 인력충원에 소극적이라는 게 노조의 주장이었다.
이에 사측은 안전인력 240여명을 증원하고 기관사 증원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자 노조는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목표를 달성했다며 사측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