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6일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에 항거해 부산과 마산 일대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인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했다. 올해 처음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정부 주관으로 열렸다.
1979년 10월16일 부산에서 시작된 시민항쟁을 마산으로까지 확산시킨 촉발지점인 경남대학교에서 식이 개최됐다. 당시 경남대 도서관 앞에 학생들이 모여 마산 시내로 나가 유신 철폐 시위를 벌였다.
‘1979~2019 우리들의 부마’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4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부마민주항쟁 가치와 정신을 계승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40년 전 민주화를 위해 싸우다 상처를 입은 피해자와 관계자에게 정부를 대표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문 대통령은 “유가족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유신독재의 가혹한 폭력으로 인권을 유린당한 피해자들 모두에게 대통령으로서 깊은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이어 “숫자로만 남아있는 항쟁의 주역들과 피해자들이 자신의 이름을 찾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할 것이며 국가폭력 가해자들의 책임 소재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식에는 부마민주항쟁 참여자와 가족들도 대거 참석했다. 항쟁 당시 증언과 기록에 따르면 당시 참여자들은 현장에서 ‘애국가’를 가장 많이 불렀다고 한다. 이들은 이날도 무대에 올라 애국가를 부르며 기념일을 기렸다. 
송기인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의 경과보고도 이어졌다. 송 이사장은 문 대통령의 ‘정신적 멘토’이기도 하다. 부마항쟁 참여자 증언 영상, 항쟁 주요 장면 재현 등이 하나로 연결된 공연으로 펼쳐졌다. 
부마항쟁 참여자인 옥정애(현 부마진상규명위원회 위원)씨 딸 이옥빈씨는 부마 정신 계승 의미를 담아낸 편지를 낭독했다. 또 배우 조진웅씨도 행사에 참석해 고(故) 임수생 시인의 ‘거대한 불꽃 부마민주항쟁’ 시를 차분한 목소리로 낭송했다. 임수생 시인은 부마민주항쟁 당시 기자로 일하며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
‘우리의 소원은 통일’ 노래를 개사해 전체 참석자들이 함께 부르는 것으로 식은 마무리됐다. ‘통일’이라는 단어를 ▲자유 ▲민주 ▲통일로 각각 바꿔 3절로 노래를 불렀다. 부마민주항쟁 당시 참여자들은 이 노래를 개사해 불렀다고 한다. 
기념식 참석에 앞서 문 대통령은 ‘부마민주항쟁 특별전시’를 부마항쟁 참여자들과 함께 관람했다. 부마민주항쟁재단이 기획한 이번 전시는 전국을 순회하며 진행 중이다. 40주년 기념식을 맞아 오는 19일까지 경남대 본관에서 열리고 있다.
박창희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