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지원사업인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받은 청년들의 아르바이트 일수와 시간이 줄고 구직활동 횟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금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게 된 청년들이 구직활동에 집중하는 효과가 생겼다고 정부는 평가했다.

28일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 9월27~30일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사업효과 분석을 위해 9417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르바이트를 하는 비율은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지원 전 25.3%에서 지원 후 16.9%로 8.4%포인트 줄어들었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은 만 18~35세 취업준비생에게 월 50만원씩 6개월 간 총 3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아르바이트를 계속 하는 청년의 경우에도 근무 일수가 주당 평균 2.95일에서 2.73일로 0.22일(7.5%) 감소했으며, 하루평균 근무 시간도 5.69시간에서 5.33시간으로 0.36시간(6.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금이 진로 및 취업 목표 성취에 도움이 됐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설문 참여자 99.7%가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도움이 된 부분의 구체적 이유를 물어보니 81.7%가 ‘경제적 부담이 줄어 구직활동에 전념할 수 있었다’를 꼽았고, ‘심리적 안정감이 증가했다(9.3%)’, ‘구직 관련 스펙을 보완할 수 있었다(2.6%)’ 등이 뒤를 이었다.

지원금을 받은 청년들의 구직활동 횟수는 확연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월 간 주로 한 활동 중 ‘구직활동, 취업준비’ 등 구직 관련 활동의 비율이 지원 전 89.2%에서 지원 후 97.5%로 8.3%포인트 증가했다.

하루 평균 구직활동 시간도 지원 전 6.33시간에서 지원 후 7.42시간으로 1.09시간(17.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3개월 간 직접 구직활동(입사지원, 면접응시 등)을 한 청년 비율은 지원 전 38.5%에서 지원 후 44.9%로 6.4%포인트 증가했다. 참여자의 평균 활동 횟수는 3.44회로 지원 전 조사 때 3.13회에 비해 0.31회(9.7%) 증가했다.

간접 구직활동(외국어 시험 응시, 자기소개서·이력서 관련 교육)을 한 청년 비율도 지원 전 57.0%에서 지원 후 79.8%로 22.8%포인트 증가했다.

참여자의 평균 활동 횟수는 지원 전 조사 때 3.76회에서 지원 후 조사 때 5.08회로 1.32회(35.2%) 증가했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은 대체로 식비 등 생활에 필수적인 부분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1~3기 참여자 약3만2000명의 카드 사용내역을 분석한 결과 많이 활용한 항목은 식비(33.3%), 소매유통(27.4%), 인터넷 구매(13.3%) 순이었다.

1회 평균 사용금액은 1만6000원으로 일반적인 소비액수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며, 1회 평균 사용액이 큰 것은 학원비(20만2671원), 공간대여(10만4845원), 통신비(7만6916원) 순으로 나타났다.

고용부 박종필 청년고용정책관은 “경제적 부담 때문에 원하던 구직활동을 못하거나 일·학습을 병행해야 했던 청년이 경제적·심리적 부담에서 다소라도 벗어나 구직활동에 집중하게 하는 효과가 있었다”며 “실제 지원금을 받은 후 구직활동 시간·횟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자기주도적인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들이 비용부담에서 벗어나 안정적으로 취업준비에 집중하도록 한다는 정책 목적과 부합하는 결과”라며 “지원금을 통해 가정형편이 어려워 구직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학교에서 사회로 나가는 데 공정한 첫 걸음을 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