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1일 발표한 ‘광역교통 2030’은 철도망 확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광역교통망 체계를 철도 중심으로 재편하고 철도망을 2030년까지 현재의 2배로 확대해 광역거점 간 통행시간을 30분대로 줄인다는 복안이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한 ‘광역교통 2030’ 선포식에서 “수도권 주요 거점을 광역급행철도로 빠르게 연결해 파리, 런던 등 세계적인 도시 수준의 광역교통망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재 추진 중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2023년)과 신안산선(2024년)을 계획대로 준공할 방침이다. B·C노선은 착공 일정을 예정보다 앞당겨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수도권 인구의 77%가 급행철도 수혜지역에 놓일 것으로 전망했다.

더 나아가 서부권 등에 신규 노선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방안이 확정되면 수도권 수혜지역은 더욱 촘촘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광역철도 노선도 손본다. 4호선(과천선) 등을 개량해 급행운행을 실시하고 인덕원~동탄 등 신설 노선도 급행으로 건설한다. 급행 운행비율을 현재 16%에서 2030년 35%로 2배 이상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철도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수도권에선 수인선(2020년)과 대곡~소사선(2021년)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측을 보강한다. 지방에선 부산·울산권 사상~하단선(2023년), 광주권 광주2호선(2025년) 등 도시철도를 강화, 구축한다. 부산·울산권 일광~태화강(2021년) 등 기존 철도 노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로 수송력도 높일 예정이다.

트램 등 신규 교통수단도 적극적으로 도입할 방침이다.

성남 트램 등 GTX 거점역 연계 교통수단과 대전2호선 트램, 위례신도 트램 등 지방 대도시, 신도시의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외곽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트램과 철도를 연결하는 ‘트램-트레인’ 도입도 검토한다.

도심 교통량 분산 및 상습정체구간 해소를 위한 도로의 간선 기능도 강화한다.

제1순환고속도로 상습정체구간인 서창~김포, 판교~퇴계원 2곳의 도로를 복층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제2순환고속도로는 미착공 구간을 서둘러 공사에 착수해 2026년 전 구간을 개통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주요 간선 상습정체구간을 해소하기 위해 대심도 지하도로를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수도권 동서횡단축 등 주요 간선도로(연구용역 중), 부산·울산권 사상~해운대(민자적격성 조사 중) 등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다. 지하부는 자동차, 지상부는 BRT·중앙버스차로 등 대중교통차로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최기주 대광위원장은 “간선급행망을 조기에 구축하고 연계교통을 강화해 수도권 내 주요 거점과 서울 도심을 30분대에 연결함으로써 출퇴근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세부과제별 추진계획을 마련해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