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10개 기업(C등급 59개, D등급 151개)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법정관리 등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금융감독원(금감원)이 12일 발표한 ‘2019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구조조정 대상기업은 지난해 보다 20개 늘었다.
대기업은 지난해 10개에서 올해 9개로 1개 줄었지만, 중소기업은 180개에서 201개로 21개 늘었다.
중소기업은 실적이 하락한 가운데 세부평가대상 기업 수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해 부실징후기업 수도 늘었다.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을 판정하기 위해 재무위험, 영업위험 등을 평가, 등급별(A·B·C·D)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제도다.
이 가운데 통상 C·D 등급은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되며 워크아웃,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이 진행된다.
210개 구조조정 대상기업 중 C등급은 지난해 53개에서 올해 59개로 6개 늘었고, D등급은 137개에서 151개로 14개 늘었다.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은 지속 감소해 올해 9개로 최저 수준인 반면 중소기업은 지난해부터 증가세를 보여 부실징후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됐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35개사), 부동산(19개사), 자동차부품(17개사), 금속가공(17개사), 도매·상품중개(14개사) 등의 순서로 구조조정 대상이 많았다.
업황 부진으로 기계장비제조업이 전년과 비교해 15개 크게 늘었고, 부동산(5개), 자동차부품(3개), 건설(3개), 전자(1개) 업종도 소폭 증가했다.
반면 조선(-7개), 금속가공(-5개), 철강(-5개), 도매·상품중개(-4개) 업종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210개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3조3000억원이며 이 중 은행권이 2조4000억원으로 대부분(72.7%)을 차지했다.
은행들이 이들 기업의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을 재분류 할 경우 더 쌓아야 하는 대손충당금은 약 1735억원 수준으로 예상됐다.
금감원 신용감독국은 “국내은행의 손실흡수 능력을 감안할 때 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감원은 210개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대해 워크아웃, 회생절차 등을 유도할 계획이다.
채권은행이 구조조정 대상기업으로 선정했으나 워크아웃 등 관리절차를 신청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후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