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내부자들’의 뜨거운 연출로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으론 드물게 700만 관객 기록을 세운 우민호 감독. 과하게 뜨거운 열정으로 난해한 결과물인 ‘마약왕’을 새카맣게 태워버리더니, 이번에는 이와 정반대로 누구보다 차갑고 냉철한 연출로 돌아왔다. 영화 ‘남산의 부장들’.
영화는 1979년 ‘제2의 권력자’로 불리던 중앙정보부장이 대한민국 대통령을 암살하기까지 40일간의 이야기를 담았다. 전 중앙정보부장 ‘박용각’(곽도원)은 미국 의회 청문회를 통해 자국에 들어선 독재정권의 실체를 고발한다. 그의 후속 폭로를 막기 위해 중앙정보부장 ‘김규평’(이병헌)과 청와대 경호실장 ‘곽상천’(이희준)이 나선다.
당시의 사건을 알고 있는 관객이라면 영화의 설정만 보고 ‘김규평=김재규 중앙정보부장’, ‘곽상천=차지철 대통령 경호실장’, ‘박통=박정희 대통령’, ‘박용각=김형욱 중앙정보부장’, ‘전두혁 보안사령관=전두환 전 대통령’임을 단숨에 알아차릴 수 있다.
우 감독은 당시의 사건을 최대한 흥분을 가라앉힌 채 차갑게 비춘다.
영화 ‘남산의 부장’은 사건 자체보다 사건을 중심으로 한 인물들의 내면을 따라가는 데 집중한다. 특별한 극적 설정으로 임팩트를 주기보다 인물들에 내면 묘사만으로 숨막히는 긴장감을 만들어 낸다. 첫 장면에서 잠시 등장하는 10·26사건 당일의 암살 장면이 마지막 장면일 걸 뻔히 알고 있는 관객들은 손에 땀을 쥐고 영화에 몰입하게 된다. 절제된 연출의 승리다.
김규평이라는 인물은 실제 김재규에 대한 해석만큼이나 복잡한 생각을 머릿속에 안고 있다. ‘믿었던 존재에 대한 실망’부터 ‘진정한 애국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 ‘친했던 동료를 살해한 죄책감’, ‘권력을 향한 충성 경쟁’까지 이 모든 감정은 최대한 감독의 해석이 배제된 채 치우침 없이 영화 위를 흐른다.
역사적 사실을 다룸에도 불구하고 역사왜곡 내지 색깔론에서 우려를 덜 수 있는 이유다.
‘내부자들’의 연출에서도 알 수 있듯이 ‘권력’이라는 소재는 우 감독이 가장 흥미로워하는 요소다. 영화의 주 시점인 김규평을 비롯해 박용각, 곽상천, 박통의 내면을 보면 ‘권력’의 속성이 무엇인지 드러난다. ‘권력’은 때론 ‘외로움’과 ‘두려움’을 몰고오는 한편 외부로는 ‘경쟁’을 부추긴다. 
그 과정 속에서 경쟁에 휘말린 이의 ‘믿음’은 ‘불신’과 ‘실망’으로 바뀌기도 하고 그 반대가 되기도 한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