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펜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글로벌 경제 충격이 현실화하면서 그 여파가 신흥국의 금융위기로 번질 우려마저 제기돼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로나19 사태가 심화되고 장기전에 돌입하면 신흥국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신흥국과의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23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코로나19 확산과 신흥국의 취약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신흥국의 자금유출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를 큰 폭으로 웃돌고 있다. 90여개 신흥국은 국제통화기금(IMF)에 지원을 요청했다.

KIEP는 경제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25개 주요 신흥국을 대상으로 경제 펀터멘털(위기관리) 취약성과 보건 분야 취약성을 각각 분석했다.

그 결과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콜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스, 헝가리 등이 경제 분야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브라질, 콜롬비아, 남아공, 이집트 등은 보건 분야에서도 취약성을 드러내 이들 국가는 코로나19 사태가 심화되거나 장기화될 경우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는 ‘고위험 국가’으로 분류됐다.

반면 한국을 비롯해 중국, 체코, 폴란드, 러시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는 경제와 보건 분야 모두 상대적으로 대응능력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러시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이 원유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유가 급락에 따른 충격이 경제 분야를 악화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한국의 경우 신흥국 가운데 안정적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지만 주력 수출시장인 신흥국에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대외개방도가 높아 그 충격이 전이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따라서 신흥국의 취약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동시에 신흥국의 불안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대(對) 신흥국 보건·경제협력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고위험 국가에 대한 수출입, 직접투자, 금융거래 등과 관련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현지 한국기업의 애로사항을 반영해 무역금융 등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신흥국 금융위기가 한국으로 전이될 위험과 관련해서는 ▲통화스와프 확대 ▲해외투자 자산의 국내 환류 유인 ▲외화유동성 관련 거시건전성 조치의 탄력적 운용 등 금융안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보건 분야가 취약한 신흥국에는 국내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코로나19 진단키트, 방역복, 마스크 등 의료물품을 지원하거나 수출하고, 한국의 감염병 위기대응 정책을 공유해 국제적인 보건위기 대응에 동참할 것을 주문했다.

이때 기업인 등 필수인력 입국 허용 등 우리 정부 및 민간의 필요사항을 요구해 한국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KIEP는 “금융부문이 취약한 신흥국은 한국의 금융위기 경험과 극복 노하우, 선진화된 금융 인프라 및 시스템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어 이 분야의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