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과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은 28일 국회에서 합당 선포식을 갖고 통합을 선언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반발해 미래한국당이 지난 2월5일 창당한 지 113일 만이다.
합당 방식은 당초 한국당이 요구했던 당대당 통합의 신설합당이 아닌 통합당에 의한 흡수통합으로 이뤄졌다.
당명은 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별도의 논의를 거쳐 변경할 계획이지만 우선 선관위에는 당명을 ‘미래통합당’으로 등록했다. 사무처 소재지도 통합당의 서울 영등포구 당사 주소지로 등록했다. 
또 합당수임기구 협의에 따라 합당 직후 당대표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맡고 주호영 원내대표와 이종배 정책위의장이 당직을 유지한다. 공석인 당 사무총장은 당대표가 임명한다는 당헌당규를 따르기로 해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인선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당으로 미래통합당은 기존 지역구 84석과 한국당 비례대표 당선인 19석을 합쳐 의석수 103석으로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177석)에 이어 원내 제2정당이 된다.
원유철 한국당 대표는 “저희들의 의석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현 집권여당의 폭주를 막아내는 힘은 이제 국민밖에 없다”며 “의석은 작아졌지만 대신 그 자리에 국민이 계시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국민과 함께하는 강소(强小) 야당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제 제1야당의 비례정당은 오늘로 없어지게 되지만 범여권의 비례정당은 수두룩하게 남아있다”며 “21대 국회는 ‘누더기 선거악(惡)법’ 연비제를 폐기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을 “환귀본처(還歸本處·물건이 본래의 자리에 다시 돌아오거나 돌아감)”라는 성어로 표현했다.
주 원내대표는 “난리통에 뜻하지 않게 헤어졌던 형제가 만나는 기분이 이런 기분 아닐까 생각한다”며 “안해도 될 고생을 ‘4+1(민주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대안신당)’ 세력이 무리하게 밀어붙이는 바람에 혼란을 겪었다”며 범여권에 책임을 돌렸다.
또 민주당을 향해 “선거법을 합의 없이 처리한 것도 유례없는 일이지만 그것도 완성 못한채로 하자 많은 법을 밀어부쳐 이런 결과가 생겼는데 사과나 반성, 바꾸겠다는 약속 없이 얼렁뚱땅 넘어가며 우리를 비난하는 염치없고 후안무치한 일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 ‘합당 수임 기구’에 참여했던 한국당의 염동열 사무총장은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은 원래 한몸이었다. 잘못된 정치제도가 낳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당인지도 모른다”며 “양당 합당을 통해 국민, 국익을 우선하는 새 정치가 만들어지길 간절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최승재 비례대표 당선인은 “그동안 미래한국당 내에서 여러가지 어떤 말들이 있었던 건 사실이다. 그런 부분은 어떻게 하면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할 수 있을가 하는 궁리였다”며 “그렇지만 먼저 국민 신뢰를 바탕으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우선 우리는 하나된 것을 보여드리고 실행에 옮겼다. 이제 책임과 공은 여당에 넘어갔다고 생각한다”고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를 요구했다.
통합당 이양수 의원은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은 연암 박지원 선생의 말씀처럼 실사구시 정신으로 똘똘 뭉쳐 국민만 바라보며 정치 초심을 떠올리며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김유립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