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가 진정되지 않을 경우 국내 기업의 27%가 인력 감축에 나설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채용을 보류하거나, 아예 철회한 기업도 10곳 중 4곳에 달했다.

25일 한국은행의 지역경제보고서에 실린 ‘코로나19 확산 충격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 15개 지역본부가 5월13일~지난 5일까지 전국 451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27.1%가 코로나 사태 장기화시 고용을 축소하겠다고 답했다.

조사에는 대기업 171곳, 중견기업 174곳, 중소기업 104곳, 공공기관 2곳이 참여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263곳, 서비스업 158곳, 건설업 30곳이었다.

예상하는 고용축소 규모는 현재 인원 대비 10% 이내라고 답한 비율이 57.4%로 가장 많았다. 이미 기업의 13%는 경영 악화로 인력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이 19.3%로 많았고, 제조업의 9.7%도 고용을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 이내로 고용을 줄인 업체가 62.5%, 10~20% 줄였다는 업체도 25%를 나타냈다. 인력의 30% 이상을 줄인 업체는 모두 서비스업체였다.

당초 계획대로 신규 채용에 나서겠다는 곳은 32.4%에 그쳤다. 보류중이라고 답한 곳이 37.3%로 가장 많았고, 당초 계획수준보다 적게 뽑겠다는 곳도 22.8%나 됐다. 아예 채용을 전면 철회하겠다는 기업은 5.6%로 조사됐다. 당초 계획보다 더 뽑겠다는 곳은 1.9%에 불과했다.

기업의 절반인 52.8%는 자금사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소 어렵다는 비중이 29.4%로 많았고, 심각히 어렵다는 곳은 7.2% 정도였다. 양호한 편(47.2%)이라고 답한 기업 중에서는 제조업(50.6%)의 응답 비중이 높았다. 서비스업(38.6%)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자금조달시 겪는 어려움으로는 담보여력 감소(25.8%), 금융기관 대출한도 축소(24.2%), 신속하지 못한 자금지원(14.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원자재나 부품 등 조달 리스크를 겪고 있는 곳도 약 30% 수준으로 파악됐다.

업황은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76.4%가 올해 2~4월중 생산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했다고 답했다. 생산 감소폭이 -20~0%에 달한다는 업체가 46.1%로 절반에 달했다. 생산이 20% 이상 감소했다는 기업도 30.4%를 차지했다. 이들 기업 중 대기업은 18.9%에 불과했지만, 중소기업은 52.4%로 나타나 규모가 영세할 수록 코로나19 충격을 크게 받는 모습이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생산폭 감소가 -20~0% 구간에 집중됐으나, 서비스업의 경우 -20% 이상인 구간에 상당부분 몰려 있어 부진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중 생산이 20% 이상 감소한 업체 비중은 숙박음식점(82.8%), 운수창고(45.5%), 도소매(34.8%) 순으로 나타났다.

설비투자 진행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응답은 38%에 불과했고 다소 차질(29%), 보류중(22.1%), 상당한 차질(10.9%) 등이라는 응답이 62%에 달했다.

하반기 이후에는 업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다소 많았다. 전체의 절반 가량인 59.6%가 하반기중 회복(36%)하거나 내년 이후 회복(23.6%)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악화 후 정체(16.2%), 악화 지속(11.9%) 등 부정적 관측도 상당수였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