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이 오는 17일 당 쇄신 방안을 담은 혁신안 초안을 발표 예정인 가운데 최고위원 체제를 도입해 당 대표 권한을 분산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5일 복수의 정의당 혁신위원회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같은 최고위원 체제 도입을 포함한 지도 체제 변경을 주요 안건으로 논의 중이다. 
특히 현행 대표-부대표 운영 체제에 벗어나 최고위원과 대표가 책임과 권한을 나눠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년과 노동 몫 등 구체적인 최고위원 구성에 대해서도 다양한 안이 논의 중이다. 
정의당은 옛 진보정의당(2012~2013년) 시절 노회찬·조준호 공동대표로 하는 최고위원 체제로 당을 운영했으나 2013년 이후 현행 대표(심상정)-부대표(김종민·박예휘)체제를 이어오고 있다. 부대표의 권한과 책임은 사실상 크지 않다. 
최고위원 체제 도입을 찬성하는 측은 당 대표 개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행 제도 개선 필요성을 주장했다. 반대 측은 과거의 집단 지도체제 부작용을 우려했다. 
한 혁신위 관계자는 “현행 대표 체계가 지나치게 1인 중심의 리더십 체계이고 부대표의 역할이 명확히 명시돼있지 않다”며 “지나치게 당 대표 1인에게 의존하는 체계라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개인에 의존하는 리더십이 아닌 시스템으로 가는 리더십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혁신위 관계자는 “당 내에서 심상정 대표 체제 안에서 생산되는 문제가 1인 대표 체제 형식에 따른 부작용이었는지 당 대표 개별적인 리더십의 문제였는지 제대로 짚고 1인 대표 체제 폐혜가 크다는 것이 객관적으로 증명됐을 때 변경되는 게 맞다”며 “과거 집단 지도체제를 해왔으나 부작용이 있어서 1인 대표체제로 바꿨다. 집단지도 체제가 더 민주적이라고만 볼 순 없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혁신위는 추가 당원 확보를 위한 당비 인하, 청년 정의당 등도 논의 중이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