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기 하남시 제3기 교산신도시 지역이 선사시대와 한성백제(BC 18년~AD 475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 시대의 매장문화재가 다량 분포됐을 것으로 추정돼 개발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교산신도시는 오는 12월이면 본격 보상에 착수하지만 보상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그동안 문화재보고로 불려왔던 이곳에 실제로 문화재가 쏟아져 나올 경우 본격적인 개발은 커녕 문화재 발굴로 전환해야한다는 것이다.
특히 교산신도시 교통개선 대책으로 제시한 3호선 연장과 간선급행버스(BRT) 노선의 경우 대부분 유물 매립 지역을 관통하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국토부는 추진 과정에서 문화재청과 전혀 의견을 교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비례대표)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하남 교산지구 문화재 지표조사’의 유물 산포지 현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도시의 중심부가 되는 교산동, 춘궁동 일대에 고고학적 유물이 대량으로 묻혀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의원은 지난 12일 문화재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강고고학연구소가 LH의 의뢰로 지난해 4월∼올해 6월까지 교산 공공주택지구를 대상으로 문화재 지표조사를 한 결과 조사지역 내 유물 산포지는 모두 85곳(총면적 378만3492㎡)”이라며 “이같은 내용은 문화재청이 제공하는 문화재 공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정부의 주먹구구식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문화재 훼손뿐만 아니라 3기 신도시 건설 계획 자체가 무산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며 “하지만 국토부는 교신 신도시 사업을 강행하면서 문화재청과 협의를 거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국강고고학 연구소도 “선사시대, 통일신라∼조선시대 등의 유물과 다수의 문중 묘를 확인했다”며 “동사지 오층석탑(보물 12호) 등  조사지역 주변의 3개 국가지정문화재와 사업지역 100m 내외에 분포하는 비지정 문화재 11개에 대해서 공사시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 고려시대까지 유물이 대량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아 고대· 중세 도시유적이라는 역사학계의 주장이 다시 한 번 확인되고 있다.
이에 대해 LH는 개발지역에 문화재가 매장·분포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지표도면과 문헌을 참조해 지표조사를 벌여왔고 최근 문화재청과 협의해 실제로 매장됐는지 발굴조사를 벌일 계획임을 시사했다.
문화재청과 함께 발굴조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신도시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 문화재 발굴조사 투입 인력을 평소 5~6개 팀에서 30개 팀으로 늘려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남시도 지난 14일 시청 상황실에서 제1회 교산지구 문화재 민·관·공 협의회를 갖고 추후 문화재 발굴조사의 철저한 시행과 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를 시행사 측에 요구하기로 했다.
협의회는 하남시, 문화재청, 하남시의회,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 하남도시공사, 하남문화원, 하남역사박물관, 하남문화유산지킴이시민위원회 등으로 구성됐다.
김상호 하남시장은 교산주민대책위 주최의 광주향교에서 가진 토지보상감정평가 고유제(告由祭) 봉행에서 “춘궁동 지역의 많은 문화유산을 잘 보존해 문화유산과 신도시가 어울어지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문화재 출토와 관리에 대한 입장을 일정부분 정리했다.
교산 신도시는 12월 보상을 앞두고 있지만 그동안 향토사학계와 전문가들이 예견한 문화재출토가 향후 어디에서 얼마만큼 어떻게 출토될지 몰라 신도시개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귀추가 주목된다.
하남 = 정성식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