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잇따른 공급 시그널이 부동산 시장의 불안 심리를 잠재우는데 특효약으로 작용하면서 집값 안정으로 이어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의 공급 확대 의지가 확실한 만큼 시장의 패닉바잉(공황 구매)을 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서는 당장 공급될 물량이 아닌 만큼 집값 안정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난 24일 국토교통부는 2·4 공급대책을 통해 예고했던 신규 택지 공급 지역을 1차로 발표했다. 광명·시흥과 부산, 광주 등 3곳에서 총 10만1000가구를 공급하는 내용이다.
정부는 나머지 15만 가구 공급을 위한 신규 택지도 4월 중 발표하기로 했다. 또 도심 개발을 통해 공급하기로 한 사업물량은 5월 중 공모 절차를 거쳐 7월 중 1차 후보지를 선정키로 하는 등 서울 도심 주택공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정부가 이번에 3기 신도시로 추가한 광명 시흥지구 면적은 1271만㎡에 이른다. 1·2기 신도시를 통틀어 6번째에 해당하는 대규모로 서울 주택 수요를 대거 흡수할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광명 시흥지구 입지 자체도 서울에서 직선거리로 1㎞ 정도 떨어져 있는데다 1기 신도시나 2기 신도시보다 서울에서 가까워 서울 출퇴근족의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윤성원 국토부 1차관은 “광명 시흥은 지구는 서울과의 거리가 1㎞ 정도로 근거리라 서울의 주택수요를 많이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교통대책도 철도를 중심으로 기반시설이 좋게 갖춰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근 주택 시장은 2·4 공급대책 발표 이후 집값 상승폭이 둔화되고 거래량도 전달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어 시장이 안정세로 접어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 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08%로 3주 연속 오름폭이 줄었다. 1월 주택 매매거래량도 1만2275건으로 전달 보다 2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의 매수심리가 한풀 꺾이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거주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지역의 신규택지 조성 계획으로 집값 안정에 탄력이 붙을 것이란 시장 전망도 나온다.
또 하남 감북, 김포 고촌, 고양 화정 등 서울시 경계선에 위치한 일부 지역들이 4월에 발표될 2차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공급 확대 분위기가 한층 고조되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발표된 물량이 당장 공급되는 물량이 아니기 때문에 집값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이나 공급 확대 신호를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광명 시흥지구 지정은 봄 이사철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의 불안 심리를 안정화 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교통 인프라 구축 등 도시 기반 시설이 갖춰진다면 서울 서남부권의 주택 수요를 흡수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에 지정된 신규택지의 실제 입주까지는 최소 4년이 걸리는 만큼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또한 3기 신도시의 토지보상 문제도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신규 택지가 점점 늘어나게 돼 정부 예상대로 일정을 앞당기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신규 공공택지 주민들의 반발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는 광명 시흥 지구 주택 공급과 관련해 오는 2023년부터 사전청약을 시작하고 본격적인 분양은 2025년부터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입주 시기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략연구부장은 “최근 주택 거래량과 가격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2·4대책의 영향 보다는 계절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며 “저금리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신규 입주 물량도 작년에 비해 감소되는 게 확실하기 때문에 수요 측면이나 공급 측면에서 상승압력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신규택지가 발표됐지만 택지 조성부터 실제 입주까지 최소 4년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상승폭은 줄어들 수 있어도 하락으로 이어지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성길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