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봉
이재봉

채소와 과일, 계란, 삼겹살, 생선 등 농축수산물 소비자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어 서민가계를 위협하고 있다. 코로나19와 조류인플루엔자 등 각종 전염병이 장기화되면서, 농산물 수급에 차질이 빚어진 탓이다. 가계 소득이 감소한 상태에서 식재료 가격의 상승과. 유가와 곡물 값까지 뛰고 있는 등 생활비의 증가도 만만치 않아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밥상물가는 서민생활 안정과 직결된다.
정부도 식탁 물가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국제 동향을 점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지만 별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면밀하게 농축수산물 수급 대책을 세워 가격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현실과 동떨어진 정부의 물가인식이 서민 가계를 옥죄고 있다. 밥상물가를 잡지 못하면 가공식품과 외식물가 인상으로 이어져 서민 고통은 더욱 커지게 된다.
높은 식탁 물가는 통계로도 어김없이 확인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월 농산물 평균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용품 가격도 크게 올랐다. 달걀은 1판(30개)당 8,000~9,000원 선에 판매되고 있어 4,000~5,000원대였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두 배 오른 수준이다. 일부 화장품 가격과 양념장, 고추장 등 가공식품 일부 품목도 인상됐다.
장바구니 물가가 치솟고 집값이 오르면 서민들이 삶은 더 팍팍해지기 마련이다. 집세도 상승해 2018년 3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전세는 2년 반 만에, 월세는 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밥상 물가 상승이 더 걱정이다. 정부가 물가고를 잡지 않고는 경제 부양 효과도 반감될 것이다.
공공요금도 들먹인다. 올해부터 전기요금 원료비 연동제가 시행돼 전기료 인상이 임박한 터에 원료비 변동요인을 반영하는 도시가스 사용료 상승까지 거론된다. 휘발유 가격은 15주가량 시차를 두고 올랐다. 유가 인상으로 전기나 수도 등 서비스물가 상승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는 비상한 각오로 물가 안정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서민 생활의 안정만큼 절실한 과제는 없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시장경제에 충실한 정책으로 선회해 국민의 고통을 덜어주면 좋겠다. 물가는 국민이 체감하는 생활의 질을 가늠하는 척도다. 밥상 물가는 서민가계와 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밥상 물가가 급등하면 가계의 실질구매력 감소로 이어져 내수에 악재가 된다. 소득은 제자리인데 물가만 천정부지로 치솟으면 지갑은 열리지 않는다.
밥상 물가 상승은 취약계층의 소비를 더욱 위축시켜 경제회복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정부는 서민가계 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물가대책을 내놔야 한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수그러들지 않아 언제 소득이 회복될 지 장담할 수도 없다. 물가 안정은 정부가 펼 수 있는 복지정책의 하나다. 취약계층이 민감한 물가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 대책을 면밀하게 마련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