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 기자 / 백제 치미가 모습을 드러냈다. 

동아시아 전통건축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지붕의 장식기와가 치미(尾)다. 용마루 양 끝에 올려 건물의 위엄을 높이고 귀신을 쫓는 구실을 하는 부재다.

지난 2013~2014년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왕흥사지(사적 제427호) 발굴조사 때 출토된 백제 치미를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복원해 3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선보였다.

부여 왕흥사지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지난 2000년부터 15차에 걸쳐 학술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유적이다. 2007년에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보물 제1767
호)가 나온 절터다. 

배병선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장은 “장식된 막새문양과 발굴된 다른 유물을 비교해 볼 때 이 치미는 왕흥사지 창건 당시(577년께)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부소산 폐사지 치미, 미륵
사지 치미 등 현재까지 알려진 고대 치미들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이다. 백제 사비기의 기와 제작기술과 건축기술, 건축양식 등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귀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를 한 몸으로 제작한 후 상하로 나눠 가마에서 구워낸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 승방터로 추정되는 건물지의 남북 양끝에서 1점씩 출토됐다. 고대 건물지에서 용마루 좌우의 치미 1벌(2점)이 함께 나온 사례는 처음이다. 건물 지붕에서 떨어지면서 파손된 채 오랜 기간 땅에 묻혀있어 파편들도 많이 사라진 상태다. 

남쪽 치미는 상부, 북쪽 치미는 하부만 복원했다. 상하부 모두를 복원한 이미지도 3D로 제작했다. 3D 영상 속 치미는 높이는 123cm, 최대너비 74cm다. 중국의 남조척(1자=24.5cm 전후)을 적용하면 높이 5자 정도, 너비는 3자에 해당된다.

왕흥사지 치미는 마름모꼴의 꽃장식인 연화문, 구름문, 초화문 등의 문양으로 화려하게 장식했다. 꼬리 부분을 하늘로 향해 날카롭게 표현해 새가 꼬리를 세워 비상하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단순할 수도 있는 지붕장식을 화려함과 위엄을 갖춘 예술품으로 승화시킨 백제 최고 수준의 장인 정신이 감지된다.

사찰의 금당 혹은 강당 등 중요 건물에만 치미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승려들이 사용하는 승방 건물에까지 치미가 쓰였다는 점은 당대 승려의 높은 지위를 짐작케 한다.

치미는 이날 오후 1시30분 국립고궁박물관 강당 ‘6∼7세기 백제·신라 기와의 대외교류’ 학술대회에서 전문가와 일반에 공개된다. 오는 29일부터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세계유산 백제’에 출품해 전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