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혁 기자 / 중소기업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이 대기업에 비해 7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중견기업의 조기 퇴사율도 대기업에 비해 2배가량 높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근로자 10인 이상 전국 1만1918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관련 관리자, 기업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을 말한다. 
 

산업기술인력은 159만4398명으로 전년대비 2.6% 증가했다. 10인 이상 사업체 전체 근로자 대비 35.5% 비중을 차지했다.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은 105만7310명으로 전년대비 1.5% 늘었다. 기계(4.9%)·소프트웨어(SW)(3.5%)·정보기술(IT)비즈니스(3.5%)·전자(3.2%) 산업 등에서 평균보다 인력이 증가했다. 
 

이에 비해 조선(-3.9%)·철강(-2.0%)·자동차(-1.4%)·반도체(-0.7%) 등은 감소했다. 
 

산업기술인력의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은 3만6933명으로 전년대비 1.5% 증가했다. 
 

부족률은 2.3%로 지난해와 같다. 부족률은 해당 산업을 운영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인원으로, 기업이 채용공고를 내고도 충원하지 못한 미충원률과 다르다. 
 

인력 부족현상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두드러졌다. 
 

중소·중견규모(500인 미만) 사업체 부족률(2.9%)로 대규모(500인 이상) 사업체 부족률(0.4%)보다 7배 이상 높았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은 산업기술인력이 부족한 가장 큰 이유로 ‘직무수행을 위한 자질, 근로조건에 맞는 인력 부족’(34.6%)으로 답했다.
 

이어 ‘인력의 잦은 이직이나 퇴직’(28.0%), ‘경기변동에 따른 인력수요 변동’(13.0%), ‘사업체의 사업 확대로 인한 인력수요 증가(9.4%)’, ‘해당 직무의 전공자나 경력직 미공급’(7.7%) 순으로 답했다. 
 

신입직 채용보다 경력직 채용이 더 어렵고 중소업체 일수록 구인난도 심각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구인인력은 14만9593명(전년대비 2.0% 증가), 채용인력은 14만4109명(전년대비 1.4% 증가), 미충원인력은 1만6315명(전년대비 3.5% 증가)으로 미충원율은 10.9%다. 특히 신입자의 미충원율은 5.8%인 반면, 경력자의 미충원율은 15.9%에 달해 경력직 채용에 더 어려웠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