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희 기자 / 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장바구니 물가와 유가가 들썩이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저성장 저물가로 인해 일본식 장기 불황의 전철을 밟는 디플레이션 걱정에서 고성장 고물가라는 인플레이션 쪽으로 일단 큰 방향을 틀었다는 건 모두가 공감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경기 회복의 온기는 느껴지지 않고 있는데 AI와 구제역 등 복합적 요인까지 겹쳐 물가부터 치솟고 있으니 과연 우리는 어느 지점에 있느냐가 쟁점으로 떠오른 것이다. 
 

한국은행은 현 경제 상황이 스태그플레이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물가 상승이 내수 심리를 위축시켜 경기 부진이 심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월(1.3%) 대비 0.7%포인트나 상승한 2.0%를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이 2%대로 올라선 것은 4년3개월 만에 처음이다.
 

올해 들어 물가상승률이 껑충 뛴 것은 식료품 가격과 유가 상승의 영향이 컸다.
 

지난 1월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8.5%나 올랐다. 조류인플루엔자(AI)의 영향으로 수급이 급격히 줄어든 달걀 가격은 61.9%나 급등했다. 작황 부진을 겪고 있는 배추(+78.8%), 무(+113.0%) 가격도 크게 올랐다.
 

‘트럼프노믹스’에 따른 물가 상승 기대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합의로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타면서 석유류 가격도 8.4%나 올랐다. 
 

문제는 경제 심리가 살아나면서 자연스럽게 물가가 오르는 것이 아니라 공급측 요인에 의해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나오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불황과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뜻한다. 지난 1970년대 ‘오일쇼크’ 때 공급측 충격으로 유가가 급등하면서 경기가 침체됐던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국내 경제는 경기 흐름이 부진한 가운데 물가가 비교적 크게 오르며 ‘저성장-저물가’ 구조에서 ‘저성장-고물가’ 구조로 이행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한은은 현재 우리 경제 상황이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해야할 정도는 아니라는 생각이다.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물가안정목표치(2%)를 넘지 않는 수준이고 경기도 ‘침체’ 수준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설명이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경기가 부진한 것은 사실이지만 경기 침체라고 보긴 어렵다”며 “경기 침체라고 하려면 일반적으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일 정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은 관계자는 “현재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를 넘었던 2~3년 전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급등이라고 보긴 어렵다”며 “과거와는 달리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 등이 받쳐줄 부분이 있어 유가 급등이 현실화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고 부연했다.
 

학계에서도 우리 경제 상황이 스태그플레이션이라기 보다는 리플레이션(디플레이션에서는 벗어났지만 인플레이션까지는 유발되지 않은 상태)에 가깝다는 의견이 일반적이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