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세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KIEP는 15일 오전 11시께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5%에서 3.2%로 내린다고 밝혔다. KIEP는 통상 11월에 그 해 2분기까지의 거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해 전망치를 발표한 후 4~5월 중으로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된 자료에는 지난해 말까지의 데이터가 모두 반영돼 있다. 
이재영 KIEP 원장은 “최근 대외 경제 여건이 대단히 엄중하다. 미·중 간 통상 분쟁이 확대되는 가운데 브렉시트(Brexit)로 인한 불확실성도 지속되고 있으며 이란과 베네수엘라 등 국가에선 지정학적 리스크도 고조되고 있다”며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도 경기 둔화를 반영해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KIEP의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치 3.3%보다도 낮다. 국제협력개발기구(OECD) 역시 이와 같은 3.3%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3%로 유지했다. 중국과 인도 역시 기존과 같은 6.3%, 7.3%다. 다만 유로존의 경우 기존 1.8%에서 1.3%로 대폭 낮췄다. 일본 역시 0.8%에서 0.7%로 하향 조정했다. 아세안은 5.2%에서 5.0%로, 브라질은 2.4%에서 1.9%로 낮췄다.
안성배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하방 리스크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며 “통상 분쟁이 다소 과하게 진행되는 측면이 있어 전 세계 경제에 굉장히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보호 무역 기조가 강화되고 주요국들이 통화 정책 기조로 전환하면서 정책적 불확실성이 고조됐다”며 “브렉시트 해법에 대한 합의 실패와 주요국에서 극우·포퓰리즘 정당 세력이 확대되고 있는 등 유로 지역에선 정치적 불확실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짚었다. 
미국의 경우 고용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세제 개편 효과가 감소하고 정책 불확실성이 심화돼 성장의 신호가 혼선돼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수출 주도형’에서 ‘내수 주도형’으로의 구조 개혁에 따른 성장세 둔화와 통상 분쟁 등 하방 요인이 있지만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로 지역은 대미 통상 마찰이 확대되면서 역내외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데다 브렉시트가 지연되고 있는데 따른 불확실성에 노출돼 있다는 진단이다.
일본은 재정 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는 10월 소비세율을 기존 8%에서 10%로 올릴 계획을 갖고 있는데 이것이 경제 성장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신흥국의 대외 여건은 지속해서 악화되고 있다. 미·중 통상 마찰이라는 거대한 요인이 불확실성으로 지속해서 남아 있으면서 기업이 투자를 꺼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인도 경제는 지난 2016년부터 추진한 개혁 정책이 안착되는데 다소 시간이 걸렸다가 지난해부터 회복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외 여건이 악화되면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봤다. 
아세안 5개국은 대체로 대내 여건이 양호하지만 중국, 일본 등 국가 경제가 둔화되면서 대외 여건이 악화돼 하방 요인에 노출돼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