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뱅킹 서비스’ 가입자가 시범운영 1주일 만에 100만명을 넘어섰다. 애플리케이션(앱) 하나로 모든 은행의 계좌를 조회하거나 출금, 이체할 수 있다는 편리함 덕분에 이용자들이 급속도로 늘고 있지만 그만큼 잡음도 끊이지 않고 있다.

1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국민·IBK기업·NH농협·신한·우리·KEB하나·부산·제주·경남·전북은행 등 시중은행 10곳이 현재 오픈뱅킹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KDB산업·SC제일·한국씨티·수협·대구·광주·케이뱅크·한국카카오 등 나머지 8개 은행은 준비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직 시범운영 단계인 만큼 여전히 보완해야 할 점들이 곳곳에 눈에 띈다.

먼저 타 은행에 보유하고 있는 계좌를 등록하려면 보유 계좌번호 자동조회가 이뤄지지 않아 계좌번호를 일일이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그렇다. 계좌등록절차와 방식이 은행별로 달라 일부 은행에서 예·적금이나 수익증권 계좌등록 및 조회도 제한되고 있다는 점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 ‘어카운트인포 서비스’와 연계를 하는 방식으로 개선, 정식 서비스가 이뤄지는 오는 12월18일 전까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일부 은행은 타행에서 타행으로 입금 이체 시 오픈뱅킹 입금API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 역시 은행의 내부의사결정이나 전산개발이 완료되면 적용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오픈뱅킹에 대해 편리하긴 하지만 아직 미흡한 부분이 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는데 지금은 시범운영 기간으로 도로를 임시 개통한 것이나 마찬가지로 이해해 달라”며 “정식으로 개통되는 다음달 18일까지 개선점들을 점검하고 보완해 완성도를 높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소비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보안이다. 그간 각 은행들이 폐쇄적으로 운영해 온 금융결제망을 전면 개방하는 것이니 만큼, 금융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지금은 10개 시중은행들이 시범서비스에 나서고 있지만, 추후 중소형 핀테크 업체들까지 가세하게 되면 보안에 대한 우려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개인의 민감한 금융정보가 공동결제망을 통해 대형은행 뿐 아니라 각종 핀테크 업체까지 접근할 수 있게 되는 만큼, 금융사고 발생 위험은 높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현재 160여개 핀테크 업체들이 오픈뱅킹 서비스를 신청한 상태다.

만약 금융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누구의 책임인지 가리는 것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예컨테 핀테크 업체의 오픈뱅킹 시스템으로 은행 계좌에 이체를 하다 오류가 발생하거나, 금융사가 해킹을 당해 개인정보 유출 등의 사고가 일어날 경우 등 그 원인이나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가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안광희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