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행정구역보다 세밀한 인구격자(1㎞×1㎞)를 기반으로 도시화율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은 97%가 넘었지만 전라권과 강원권은 70%대에 그쳤다. 2000년대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도시인구와 면적은 갈수록 팽창했다.
유소년 100명당 고령인구 수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강원이 138.3으로 가장 높았고, 20년 만에 전국 노령화지수는 4배 넘게 급증한 것으로 타났다.
통계청 통계개발원은 최근 도시권 확대와 지역인구 감소를 파악하기 위해 유엔(UN)에서 권고하고 있는 인구 격자를 활용한 통계적 지역분류체계에 따른 지역의 도시화 현황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통계적 지역분류체계는 인구격자 통계와 지리적 인접성을 활용해 지역을 '도시-준도시-농촌'으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도시화 규모 변화 등 국토의 공간적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기 위해 도입했다.
1㎞×1㎞ 인구격자에 1500명 또는 300명 이상이 거주하면 표시하고, 지리적 인접성을 고려해 이를 그룹화한다. 격자내 인구 1500명 이상 또는 군집화 인구 5만명 이상이면 '도심', 300명 이상 또는 5000명 이상이면 '도시 클러스터', 이외 지역은 '농촌'으로 군집화 유형을 분류한다.
통계적 지역분류는 이렇게 군집화한 유형을 행정구역 기반으로 행정구역 인구 50% 이상이 1개 이상 도심에 거주하면 '도시(고밀도)', 50% 이상이 도시 클러스터에 거주하면 '준도시(중밀도)', 50% 이상이 농촌에 거주하면 '농촌(저밀도)'으로 재분류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전국 도시화율은 90.7%로, 수도권이 97.1%로 압도적이었으며, 나머지 경상권(89.2%), 충청권(83.1%), 제주권(82.0%)은 평균이 미치지 못했다. 전라권(77.0%), 강원권(73.9%)은 70%대에 그쳤다. 2000년 이후 전국 모든 권역에서 도시화율이 증가했지만 전라권과 강원권은 2010년대 들어 감소했다.
도시집중도는 수도권이 2000년 10.8%에서 2021년 14.7%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도 5.7%에서 6.9%로 늘었다. 충청권(2.1%→2.6%), 경상권(4.8%→5.8%)은 증가세를 보인 반면, 전라권은 2010년 6.0%에서 4.7%로 강원(2.1%→1.9%)과 함께 줄었다.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 100명 대한 65세 이상 고령 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2000년 전국적으로 25.3이었으나 2021년에는 4배 넘는 120.5로 대폭 커졌다. 수도권은 2000년 24.5에 불과했지만 2021년에는 121.3으로 전국 수치를 넘었다. 강원권(138.3)과 경상권(133.7)이 높았고, 충청권(93.1)과 제주권(96.6)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도권은 도심을 중심으로 도시인구와 도시면적이 증가했다. 도시 클러스터는 2000~2010년 도시인구와 도시면적이 크게 감소하다가 2010년 이후 도시인구 감소세가 완화되고, 도시면적도 소폭 늘었다. 서울을 중심으로 인천, 경기 수원·광주·고양 등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지속적으로 팽창했다.
행정구역과 인구격자를 토대로 한 지역분류를 비교하면 2020년 기준 행정구역상 전국 250개 시군구 중 도시(시·구) 지역은 168개(67.2%), 농촌(군) 지역은 82개(32.8%)다.
행정구역상 시군구는 229개지만 도시화 정도 분석에서는 지방자치법 제3조 제3항의 규정에 의거 인구 50만명 이상의 시에 설치한 구까지도 포함
250개로 분류한다.
통계적 지역분류는 도시(고밀도) 지역 127개(50.8%), 준도시(중밀도) 지역 42개(16.8%), 농촌(저밀도) 지역 81개(32.4%)로 구분한다. 행정구역 지역분류와 통계적 지역분류 간 도시 지역의 차이가 큰 지역은 제주, 충남, 경북, 경남 순으로 파악됐다.
지난 10년간 21개 시군구 지역 분류가 9개 준도시가 도시 지역으로, 5개 농촌이 준도시로, 5개 도시가 준도시로 변화했다. 준도시에서 도시로 변화한 9개 지역 중 7개 지역(과천·광주·김포·시흥·양주·파주·하남)이 경기에 집중됐다.
통계청은 통계적 지역분류가 기존의 행정구역 중심의 이분법적 도시(동)-농촌(읍·면) 구분을 보완한 도시의 다채로운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했다.
김성길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