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들이 고인플레이션 비용 압력에 평균 6.4개월 만에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들의 잦은 가격 인상이 물가 둔화의 주요 불확실성으로 거론되면서 국제유가 등 새로운 충격 발생 시 인플레이션 폭이 더욱 확대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은 11일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BOK이슈노트’를 발간했다. 저자는 조사국 물가동향팀 이동재 과장과 임서하 조사역이다.
보고서는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은 가격 인상빈도를 늘리면서 비용압력에 대응한 반면 가격조정폭은 팬데믹 이전과 큰 변화가 없다는 특징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는 2018년부터 2021년 평균 월 평균 11.0%에서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기간(2022~2023년) 중 15.6%로 상승했다.
이 결과 평균 상품가격 유지 기간은 기존 9.1개월에서 최근 6.4개월로 단축됐다. 기업들이 평균 9.1개월 만에 가격을 높이다가 최근 고물가 시기에는 6.4개월로 가격 인상 빈도가 늘었다는 해석이다.
반면 인하빈도와 가격조정폭(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전후로 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다. 국내 생필품가격 인상률은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수준에서 유지 중이다.
저자들은 고물가 시기에 소비자의 저항 및 민감도, 경쟁제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기업들이 가격인상 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했다고 본다. 이 결과 물가 상승률과 가격 인상 빈도 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도 할인 등 일시적 가격조정이 늘며 같은 상품에 대한 판매처별 가격편차도 나타났다. 기업들이 인상 빈도를 높이는 동시에 수요 변화에 따라 할인 등 일시적 가격조정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유가 상승 등 충격의 크기가 크거나, 서로 다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과 함께 가격인상 빈도가 확대되면서 물가상승률이 더 큰 폭(비선형적)으로 확대될 것이란 결과를 얻었다.
아울러 물가상승률이 4~5%로 높은 시기에는 동일한 비용 충격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추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저자들은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당폭 상회하는 상황에서 향후 새로운 충격이 발생 시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봤다.
이 과장은 “향후 물가상황 판단시 기업의 가격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병욱 기자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