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년부터 노동력이 본격적으로 감소하면서 향후 10년 동안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추가로 89만4000명의 인력이 필요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2032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및 추가 필요인력 전망’ 결과를 발표했다.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는 인구 감소 영향으로 2022년부터 2032년까지 31만6000명이 증가하지만 그 증가폭이 과거 10년간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대폭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7년까지는 증가하나 2028년부터 본격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고, 고령층 비중 확대 등 구성효과로 인해 노동 공급 제약여건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고령화 심화로 2030년부터는 장년층(55세~69세) 인구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32년까지 취업자수는 30만9000명으로 증가하지만, 역시 2028년부터는 공급제약의 영향을 받아 감소로 전환한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사회복지업과 보건업에서 가장 많은 취업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출판업(소프트웨어 개발 등) 등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산업구조 전환의 영향으로 도소매업, 제조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직업별로는 고숙련 수요 증가와 산업구조 서비스화로 전문가, 서비스직에서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판매직,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직, 기능원 등은 온라인화·자동화 등 기술변화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정보원은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로 노동시장에 유입돼야 할 노동력 규모인 ‘추가필요인력’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추가 필요인력은 향후 성장 전망치를 달성하기 위해 노동공급 제약을 고려한 인력 이외에 추가로 필요한 인력(노동수요 기반 취업자수-노동공급 제약 고려 취업자수)이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기경제성장 전망치(2.1%~1.9%)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2년까지 89만4000명이 필요하다.
산업별로는 보건복지서비스업이 13만8000명으로 가장 많고, 제조업(13만7000명), 도소매업(11만8000명)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0만2000명)와 사무종사자(15만2000명) 등 비교적 고숙련 직업군에서 추가 인력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단순노무종사자(12만6000명), 서비스종사자(11만9000명)의 추가필요 인력 규모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됐다.
고용정보원은 이 같은 전망에 따라 “여성·청년·고령자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청년을 대상으로는 취업기회 확대를 위해 첨단산업 훈련, 일경험, 맞춤형 취업지원 등을 제시했다. 여성을 대상으로는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육아휴직 확대, 유연근무 활성화 등 일·육아 병행이 가능한 고용환경 구축을 제시했다.
고령자의 경우는 원하는 만큼, “더 오래 일할 수 있도록 임금체계 개편 등 계속고용 기반을 조성하고 직무전환 훈련 등으로 원활한 이·전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기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